올해 전기이륜차 4만대 도로 누빈다
입력 : 2023-03-29 04:01
수정 : 2023-03-29 04:01
환경부, ‘2023년 전기이륜차 구매보조금 개편방안’ 발표
전기이륜차 차체만 구매해도 보조금 60% 지급
소상공인·취약계층은 보조금 산정액의 10% 더 얹어줘
보조금 예산 지난해보다 78% 늘어난 320억원 책정
기사썸네일 사진
전기이륜차. 연합뉴스

잘하면 올해 안에 전기이륜차 4만대가 도로 위를 ‘씽씽’ 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됐다.  

환경부는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를 위한 ‘2023년 전기이륜차 구매보조금 개편방안’을 28일 내놨다. 

그동안 전기이륜차 차체와 배터리 모두를 구매한 때만 보조금이 지원됐다. 하지만 앞으로는 전기이륜차 차체만 구매하고 배터리는 공유하는 때도 전체 보조금 대비  60% 수준의 보조금이 지급된다.

특히 이륜차 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해 지원을 차등화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륜차는 배달 등 생계용으로 사용하려는 소상공인과 저렴한 가격으로 이동 수단을 구매하려는 취약계층의 비중이 높다. 

따라서 소상공인·취약계층에 대해서는 보조금 산정액의 10%를 추가 지원한다. 

환경부는 또 6개월 이상 유상운송보험에 가입해야만 배달 목적 전기이륜차 구매로 인정해 별도 지원하던 규정을 완화했다. 3개월 이상 비유상운송보험을 가입해도 배달 목적 구매로 인정해 배달 종사자의 보험 비용 부담도 줄인다.

환경부의 이번 개편방안은 내연기관 이륜차 확산을 막는 대신 전기이륜차 보급은 늘리기 위한 것이다.  

앞서 환경부는 내연기관 이륜차와 견줘 긴 충전시간과 짧은 주행거리가 전기이륜차 수요를 위축시킨다고 판단한 바 있다. 내연기관 이륜차는 300㎞가량 주행할 수 있지만 전기이륜차는 한번 충전에 70~80㎞를 달릴 수 있어서다. 

이에 환경부는 시간을 들여 충전할 필요 없도록 배터리 교환소에서 완충된 배터리로 바로 교체할 수 있는 ‘배터리 교환형’ 전기이륜차 확산에 중점을 두고 보조금 체계를 개편했다. 

이러한 방안을 통해 환경부는 올해는 전기이륜차를 4만대까지 신규 보급할 수 있다고 본다. 그동안 보급한 전기이륜차 6만2917대에 이른다. 

이를 위해 올해 보조금 예산으로 320억원을 편성했다. 전년 대비 78% 증액된 수치다. 

박연재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보조금 개편안에는 수요자가 만족할만한 전기이륜차 생산을 유도하고 이용 편의를 개선하는 방향들을 담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기이륜차 보급 확대에 따른 대기질 개선 온실가스 감축 효과뿐만 아니라 배터리 구독경제 모델 등 혁신사업 활성화에 따른 산업·경제적 효과도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유정 기자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