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시니어’가 ‘돌봄 선생님’으로⋯늘봄학교 범부처 협업 개시
입력 : 2023-03-24 09:43
수정 : 2023-03-24 09:43
교육부·저출산위·복지부 등 7개 관계부처 참여 제1차 협의회 개최
은퇴자·시니어, 돌봄 공백 채우는 역할로 급부상
관계부처 간 사업 진행상황·정보 공유하며 협업 추진
Second alt text
교육부·고용노동부를 비롯한 관계부처 사이에서 은퇴자·시니어 인력이 돌봄 공백을 대응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미지투데이 

“할아버지, 선생님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해요?”

아이들이 은퇴자에게 선생님이 되는 방법을 물을지도 모르겠다. 아침부터 저녁 8시까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늘봄학교에 은퇴자·노인(시니어)이 선생님으로 참여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같은 논의를 포함해 초등돌봄 정책 연계·협력을 다루는 제1차 관계부처 협의회가 최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렸다.

지난달 교육부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행정안전부·문화체육관광부·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여성가족부가 참여하는 관계부처 협의체를 만든 바 있다.

교육부가 가장 관심을 쏟은 사안은 현 정부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인 늘봄학교였다. 늘봄학교는 정규수업 전후로 제공하는 교육·돌봄 통합 서비스로 다양한 방과후 프로그램과 휴식·놀이·간식 등 돌봄을 함께 제공한다.

이날 협의회에서 시니어 인력이 돌봄 공백을 메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늘봄학교는 아침·저녁·틈새 돌봄, 등·하원 안전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를 진행할 인력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퇴직교원 같은 은퇴자 인력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구상이 나온 배경이다. 

협의체는 늘봄학교와 시니어 일자리 사업을 연계하는 방안도 논의하기도 했다.

체육·문화·예술교육 등 방과후 프로그램 지원에는 교육부와 문체부가 손을 잡았다. 교육부는 늘봄학교가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 양질의 방과후 프로그램이 핵심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문체부·대한체육회 등 관계기관이 추진하는 프로그램과 협력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다. 

더불어 교육부·복지부·여가부는 ▲늘봄학교 및 초등돌봄교실(교육부) ▲학교돌봄터·다함께돌봄센터·지역아동센터(복지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여가부) 등 부처별로 진행하는 돌봄 사업 내용을 공유하고 돌봄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기관 간 연계 활성화 방법을 모색했다. 

교육부는 기존 단위학교 중심 운영에서 지역에서 전담하는 체제로 넘어가기 위해 방과후·늘봄지원센터를 지방자치단체와 공동 운영한다. 이때 행안부는 교육청과 지자체가 유기적으로 힘을 합칠 수 있도록 돕는다는 방침이다.

협의체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돌봄정책 추진 상황을 계속해 공유하고 범부처 합동과제를 발굴한다는 구상이다. 분기마다 회의를 열고 논의·발굴한 중요 안건은 사회관계장관회의에 상정할 예정이다.

나주범 교육부 차관보는 “학령인구가 급감하는 상황에서 아동·학부모의 수요를 반영한 돌봄을 제공하려면 관계부처와 지자체 사이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고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관계부처와 합동과제를 발굴하고 협업해 학부모의 돌봄 부담을 줄이고 아동이 다양한 교육을 받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홍지상 기자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