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밥 여성 대사증후군 1.5배 증가 혼밥 남성 혈중 중성지방 위험 증가
혼자 끼니를 때우는 혼밥이 잦으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해당 연구는 박유경 경희대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교수팀이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4910명을 대상으로 혼밥과 건강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로, 대한영양사협회지에 소개됐다.
박유경 교수 연구팀은 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 발표에서 하루 두끼 식사를 혼자 하면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이 가족·친구 등과 함께 식사하는 사람에 비해 1.3배 높았다. 또 하루 세끼 모두를 혼밥으로 해결하면 고혈압·우울증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분석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일수록 혼밥 가능성이 높았고 교육·소득 수준이 높고 취업 상태이면 혼밥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하루 혼밥 횟수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를 대단히 많이 느낀다’는 응답률이 높았으며, 하루 세 끼 모두를 혼자 식사하는 사람의 우울증 유병률도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혼밥은 허리둘레·공복 혈당·혈압 등 대사증후군 위험도 높였다. 하루 두 끼를 혼자 식사 하는 사람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지인과 함께 식사하는 사람의 1.3배였다. 하루 세끼 모두 혼자 밥을 먹는 사람은 고혈압 발생률이 눈에 띄게 높았다. 혼밥 횟수가 늘어날수록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경향도 높았다.
혼밥을 자주하는 여성은 대사증후군 위험이 1.5배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됐다. 해당 연구에서 남성의 혼밥은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증가했다. 해당 연구는 서영성 계명대학교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2017∼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미만의 성인 남녀 1만717명을 대상으로 혼밥이 대사증후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다 이 연구결과는 KOFRUM에서 발표됐고,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에 게재됐다.
결과적으로 서영성 교수 연구팀은 하루 두끼 이상을 혼자 먹는 혼밥족의 비율은 전체의 9%(964명)라는 점을 확인했다. 이후 심층조사와 추적관찰 결과 가족 등과 동반 식사를 하는 사람보다 혼자 밥을 자주 먹는 성인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1.2배였다.
특히 혼밥을 하는 성인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동반 식사 여성의 1.5배였다. 또 혼밥 여성은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인 허리둘레, 혈중 중성지방 수치, 혈중 HDL 콜레스테롤 수치, 혈압, 공복 혈당도 함께 식사하는 여성보다 나빴다. 혼밥을 하는 성인 남성은 중성지방 수치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임태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