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이 문장] ‘소고기를 위한 변론’
입력 : 2022-04-13 00:00
수정 : 2022-04-12 13:54

20220412092544461.jpg

“고기를 절대 먹어서는 안된다는 주장부터 고기만 먹는 것이 최상이라는 주장까지 다양하다. 나로서는 다음의 간단명료한 생각에 가장 신뢰가 간다. ‘우리 몸은 무엇을 먹도록 진화했는가? 그것을 먹어야 한다.’ ”(308쪽)



대학의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내 딸아이는 함께 사는 후배에게 배울 점이 많다고 좋아한다. 특히 식습관이 존경스러운데 룸메이트는 비건(vegan·채식만을 고집하는 사람)이라고 한다. 어느샌가 고기를 뺀 채소 위주의 음식을 먹는 사람이 더 세련되고 건강한 식습관을 가진 사람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다.

<소고기를 위한 변론(갈매나무)>은 억울하게 기소된 쇠고기를 변호해주는 책이다. 과학에 기초한 증거와 연구 자료를 토대로 쇠고기 자체가 우리의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고 밝혀낸다.

많은 사람이 고기를 먹으면서 환경을 파괴하고 동시에 자신의 건강을 해친다는 죄책감에 시달린다. <소고기를 위한 변론>은 좁은 공간에 밀집형으로 사육하고 항생제를 투여하는 사육 방식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적절한 계획과 감독으로 방목한다면 소 사육은 오히려 환경을 풍요롭게 한다는 것이다.

필자의 어린 시절을 돌이켜보건대 지금은 멸종 위기인 쇠똥구리는 소똥을 주식으로 삼는 곤충이었다. 소의 분뇨는 식물에 수분과 유기물을 곧장 공급하기도 한다.

건강을 이유로 고기를 피하는 게 능사가 아니다. 소비자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공장식 사육을 지양하고 건강하게 키운 쇠고기를 찾아 먹는 것이다.

박균호 (북칼럼니스트·교사)
 

댓글 2